본문 바로가기
회사생활

[엑셀실무]주민등록번호 처리 함수 총정리(REPLACE,CHOOSE 함수 활용)

by 제이에스컴퍼니 2025. 4. 2.
반응형

주민등록번호에서 생년월일, 성별, 출생 연도까지… 엑셀 함수 하나로 다 가능하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안녕하세요, 여러분! 저는 회사에서 데이터 정리를 많이 맡고 있는 직장인입니다. 엑셀 작업하다 보면 주민등록번호 처리해야 할 일이 진짜 자주 생기더라구요. 처음엔 막막했지만, 하나하나 함수 익히면서 ‘이제 좀 할 만하다!’ 싶을 정도로 성장했어요. 오늘은 그동안 제가 사용해 본 주민등록번호 관련 엑셀 함수들을 총정리해서 소개해드릴게요. 어렵지 않아요, 같이 천천히 배워보아요 😊

문자열 추출 및 분리 함수

엑셀에서 문자열을 다룰 때 가장 자주 쓰는 함수는 바로 LEFT, RIGHT, MID입니다. 주민등록번호에서 생년월일이나 성별을 추출할 때 유용하죠.

=LEFT(A2,6)
=RIGHT(A2,7)
=MID(A2,8,1)

예를 들어, 셀 A2에 "990101-1234567"이 있다면,

LEFT(A2,6)은 생년월일 990101,

RIGHT(A2,7)은 뒷자리 1234567,

MID(A2,8,1)은 성별 코드 1을 추출합니다.

개인정보 마스킹 함수

개인정보 보호가 중요한 요즘, 주민등록번호를 외부로 보여줄 때는 뒷자리를 마스킹 처리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이때 유용한 함수는 REPLACE입니다.

함수 설명 예시
=REPLACE(A2,9,7,"******") 9번째 자리부터 7자리 문자 제거 후 별표로 대체 990101-1******

날짜 처리 및 출생년도 계산 함수

생년월일을 정확한 날짜 형식으로 변환하거나, 출생 세기를 추론할 때는 CHOOSE, DATE, IF, OR 함수의 조합이 정말 강력합니다. (A2에 "990101-1234567")

  • =CHOOSE(MID(A2,8,1),"19","19","20","20") → 성별 코드로 출생 세기 판별
  • =DATE(CHOOSE(MID(A2,8,1),"19","19","20","20")&LEFT(A2,2),MID(A2,3,2),MID(A2,5,2)) → 날짜 포맷으로 변환 → 1999-01-01
  • =IF(OR(MID(A2,8,1)="1",MID(A2,8,1)="2"), "19"&MID(A2,1,2)&"년", "20"&MID(A2,1,2)&"년") → 텍스트 형태 연도 출력   → 1999년

성별 판별 함수

주민등록번호의 8번째 자리는 성별을 구분하는 데 사용됩니다. 남자는 1, 3번, 여자는 2, 4번이죠. CHOOSEVALUE를 조합하면 깔끔하게 성별을 판별할 수 있어요.

함수 설명 예시
=CHOOSE(VALUE(MID(A2,8,1)), "남", "여", "남", "여") 성별 코드에 따라 "남" 또는 "여" 반환 "1" 또는 "3" → 남, "2" 또는 "4" → 여

외국인 코드 확장 예시

2000년대 이후 외국인의 주민등록번호에는 5~8번 코드가 사용됩니다. 이를 반영하려면 CHOOSE 함수의 인자 개수를 늘려주면 됩니다.

함수 설명
=CHOOSE(VALUE(MID(A2,8,1)), "남", "여", "남", "여", "남(외)", "여(외)", "남(외)", "여(외)") 1~8번 코드까지 모두 대응 가능

정리 및 마무리

  • 주민등록번호 앞자리: LEFT 함수
  • 뒷자리 마스킹: REPLACE 함수
  • 출생 연도 계산: CHOOSE, DATE, IF 조합
  • 성별 구분 및 외국인 코드 대응: CHOOSE 확장
  •  
Q 주민등록번호에서 생년월일만 추출하고 싶어요.

LEFT 함수를 사용하면 앞 6자리만 쉽게 추출할 수 있어요. 예: LEFT(A2,6)

Q 주민번호 뒷자리 마스킹 처리 어떻게 하나요?

REPLACE 함수로 처리할 수 있어요. 예: =REPLACE(A2,9,7,"******")

Q 1900년생인지 2000년생인지 구분이 안 돼요.

CHOOSE 함수와 성별 코드를 활용하면 세기를 알 수 있어요. 예: =CHOOSE(MID(A2,8,1),"19","19","20","20")

Q 주민등록번호로 성별을 알 수 있나요?

CHOOSE 함수와 VALUE를 함께 쓰면 성별 구분이 가능해요. 예: =CHOOSE(VALUE(MID(A2,8,1)), "남", "여", "남", "여")

Q 외국인 주민등록번호도 처리할 수 있나요?

물론이죠. 외국인 코드(5~8번)까지 포함하려면 CHOOSE 함수에 값을 더 추가하면 돼요.

Q 주민등록번호를 날짜 형식으로 바꿔서 표시할 수 있나요?

DATE 함수와 CHOOSE, MID 조합을 사용하면 됩니다. 예: =DATE(CHOOSE(MID(A2,8,1),"19","19","20","20")&LEFT(A2,2),MID(A2,3,2),MID(A2,5,2))

 

오늘은 엑셀을 활용해 주민등록번호를 처리하는 다양한 함수들을 알아봤어요. 처음에는 생소할 수 있지만, 한 번만 익혀두면 업무에서 정말 많은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답니다. 특히 개인정보 보호가 중요한 요즘, 마스킹 처리 함수는 필수라고 생각해요. 여러분도 오늘 배운 함수들을 실제 업무나 개인 작업에 꼭 한 번 적용해 보세요. 혹시 궁금한 점이나 어려웠던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편하게 남겨주세요. 제가 아는 한 최대한 도와드릴게요 😊 다음엔 또 다른 실무 꿀팁으로 찾아올게요!

 

 

 

 

 

 

반응형